경관식이란?
페이지 정보

본문
안녕하세요~
힘들때 힘이되는 시온방문요양센터입니다.
저희 센터에 2등급 어르신이 계신데요
사랑하는 어르신의 가족분들을 위해서 좀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
경관영양법(경관식)이란이란 무엇인가요?
경관영양법(경관식)이란
입으로 식사를 할 수 없는 환자를 위하여 튜브 등 관을 통하여 소화기에 유동식을 주입하여 영양을 공급하는 방법이랍니다!
튜브 영양 또는 비강(鼻腔)영양이라고도 하는데요~
구강으로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(의식감소, 연하곤란 등)에
실시하게 됩니다!
1. 코에 튜브를 삽입하여 위에까지 직접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
2. 수술하여 만든 위루나 장루로 삽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^^
음식물은 대상자의 질환에 따른 처방식이를 고려해서
골고루 영양을 섭취하도록 해야 해요.
대부분 경관영양에 이용되는 음식은
우유, 크림, 미음, 거른 야채, 과즙, 물 등이 있으나 특별한 처방이 없다면 가정에서 먹는 음식을 분쇄기에 갈아서 경관영양을 할 수도 있습니다.
경관영양법 어떻게 하나요?
경관영양법의 방법은 아래를 보실까요?
① 경관영양 위한 음식은 실내온도로 맞춘다 ② 경관영양을 준비하기 전에는 꼭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해요! ③ 대상자가 일어나 앉지 못하면 최대한 식사 자세와 가깝게 앉은 자세를 취해야 한다. ④ 경관영양을 하기 전에 비어있는 경관 영양용 주사기로 위 잔여물을 확인하기 위해 흡인해 본다. ⑤ 전에 급식한 내용물이 남아 있으면 그 양만큼 뺀 양을 급식한다. ⑥ 경관영양으로 음식물을 주입하기 전에 경관의 폐쇄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30~60㏄ 정도의 물을 관 속으로 넣는다. ⑦ 급식이 끝난 다음에도 물을 공급해서 경관을 깨끗하게 한다. ⑧ 준비된 음식물은 중력에 의해서 위 속으로 들어가도록 천천히 공급한다. ⑨ 급식 전후 중간에 관 안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. 공기가 주입되면 위에 팽만감을 느끼고 소화에 지장을 받는다. ⑩ 처방된 식이를 다 공급한 후에는 경관의 입구를 잘 잠궈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. ⑪ 공급시간은 매번 15~30분으로 하고 하루 5~6회 정도 공급한다. [네이버 지식백과] 경관영양법 [intubation feeding, 經管營養法] (두산백과) |
경관영양법 무엇을 주의 해야하나요?
① 경관식이를 준비 및 공급과정에서 철저하게 손을 닦아 감염을 예방해야 한다. ② 식이의 온도에 유의해야 한다. ③ 식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구를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. ④ 경관영양 후 30분 동안은 자세를 30~45도로 유지하여 내용물을 흡인하게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. ⑤ 경관영양을 받는 상태에서 변비가 지속된다면 수분과 섬유질의 공급을 늘려야 한다. ⑥ 탈수현상이 발견되면 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지에 적어두고, 체중을 측정해야 한다. ⑦ 몸이 붓거나 호흡수가 증가되는 경우에는 제일 먼저 수분섭취를 제한하고, 고농축 칼로리 식이를 사용해야 하며, 주치의에게 알려야 한다. ⑧ 수분이 부족하거나 구강자극이 없음으로 인한 구강건조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. ⑨ 구강을 청결하게 해주고 코로 숨을 쉬도록 한다. ⑩ 의식이 있거나 삼킬 수 있는 경우에는 껌을 물어보게 하는 것도 좋다. [네이버 지식백과] 경관영양법 [intubation feeding, 經管營養法] (두산백과) |
주의 할점 !!
주치의와 꼭 상담하세요!
가정에서 경관영양법을 실시할 경우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면
주치의와 꼭 상담하셔야해요!
① 급식관이 빠진 경우(부분적, 완전) ② 질식 및 호흡곤란 ③ 경관유동액이 새거나 위 내용물이 있는 경우 ④ 관이 막힌 경우 ⑤ 소변의 특이 및 탈수 증상 시 ⑥ 24시간 구토시 ⑦ 대장활동의 특이(변비, 설사)가 지속되는 경우 ⑧ 일주일에 5kg이상 체중감소 혹은 증가 시 ⑨ 발열 |
격려와 위로 !!
- 이전글겨울철 낙상 예방법! 25.03.17
- 다음글어르신 물 부족 현상일때 나타나는 현상 ? 25.03.17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